[한국농어민신문 최영진 기자]
무농약·유기농·GAP 등 15종
공통 마크 사용 변별력 낮아
2030 소비자 등 오해 줄도록
‘무농약·무화학비료’처럼
쉽게 풀어쓰는 방향 바꿀 필요
친환경과 농산물우수관리(GAP) 등 다양한 농산물 인증 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선 현행 인증마크를 보다 직관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매년 되풀이되는 지적 속에 최근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증마크를 변경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와 관심이 쏠린다.
농식품 국가인증은 재배환경·품질 등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한 농산물과 가공식품에 국가 차원의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현재 초록색 바탕의 국새 모양의 공통 마크로 무농약‧유기·유기가공식품‧GAP‧우수식품·지리적표시‧유기농축산물‧저탄소농축산물 등 15종이 운용되고 있다.
문제는 공통 마크를 사용하다보니 국가인증 농식품이란 점을 강조할 수 있지만, 유사해 보이는 인증에 있어선 소비자 구분도는 떨어진다는 점이다. ‘무농약’과 ‘유기’로 분류되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제 간 상위 개념을 헷갈리거나 오히려 농약과 화학 비료를 일부 사용하는 GAP가 더 우위인 것으로 인식하는 식이다.
조성근 한국친환경농업협회 사무총장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산물이 무농약보다 상위 인증이지만, 인증명을 보고 소비자들이 오인해 무농약을 더 높은 개념으로 여기기도 한다”며 “의미 전달이 불분명한 GAP가 더 나은 인증이거나 친환경농산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해 온라인 상에서 허위 판매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시스템을 활용한 결과 GAP 인증만 받곤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친환경농산물처럼 거짓·과대 판매된 경우도 허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 사무총장은 “소비자 오해를 줄이기 위해선 인증마크에 들어가는 문구를 명확히 해야 한다”며 “인증마크에 대한 인식이 적은 2030의 젊은 층을 미래소비자로 삼기 위해선 ‘유기’라는 표현보다 ‘무농약·무화학비료’처럼 쉽게 풀어쓰는 방향으로 인증마크 변경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주장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소비자단체 협력사업 일환으로 녹색소비자연대에 의뢰해 지난 달 22일 비공개 발표된 연구용역 결과에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참여자 500명 가운데 과반가량이 인증마크 변경에 찬성했고, 특히 20대 등 젊은 층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산물만의 특징을 드러낼 인증마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증마크 및 명칭 변경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앞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진행한 2022‧2023년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인식 및 판매장 현황조사에서도 다양한 인증으로 인한 소비자 인식 애로를 지적했다. 조사 참여자 중 단 한 명을 제외하곤 친환경농산물‧GAP‧저탄소 인증 간 차이점을 알지 못 했으며 소비자뿐 아니라 유통업체 담당자도 혼란을 겪는 등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증에 대한 정부의 종합 대책이 요구되고 인증 별 구분 여부를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또한 유기농은 한자어 자체로도 쉽게 의미가 추정되지 않는 만큼 인증마크 표시를 바꾸거나 저탄소 인증처럼 직관적인 심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와 관련 최규일 농식품부 친환경농업과 사무관은 “젊은 층은 인증마크 변경에 긍정적이지만 장년층은 통일감 있는 현행 인증마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제6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2026~2030년)에 추가 연구를 담는 등 친환경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진 기자 choiyj@agrinet.co.kr
출처:한국농어민신문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