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천시농어업회의소 홈페이지 로고 (사)춘천시농어업회의소 홈페이지 로고 (사)춘천시농어업회의소 홈페이지 로고

메인 홈페이지 상단 햄버거 메뉴 메인 홈페이지 상단 메뉴 닫기버튼

회의소 소식

언론보도

춘천시농어업회의소 언론보도를 확인해보세요.

타이틀 과 컨텐츠 사이 분리선 이미지
기록적 폭염···사람도, 작물도, 가축도 견디기 힘들다
조회 6
작성자 농어업회의소
작성일 2025/07/14

이어지는 불볕더위에 속수무책
온열질환자 이미 작년 두배
대파 등 농산물값마저 폭락 ‘신음’
가축 잇단 폐사·양식어가도 고통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면서 농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 사고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감자를 수확하는 농민들이 오전부터 내리쬐는 강한 햇빛과 무더위에 수확을 잠시 멈추고 물을 마시며 수분을 보충하고 있다. 김흥진 기자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면서 농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 사고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감자를 수확하는 농민들이 오전부터 내리쬐는 강한 햇빛과 무더위에 수확을 잠시 멈추고 물을 마시며 수분을 보충하고 있다. 김흥진 기자  


기록적인 폭염으로 농촌지역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농작물은 생육을 멈추고 주요 농산물 가격마저 폭락하면서 농심이 타들어가고 있다. 

7월 들어 낮 최고 기온이 35℃를 넘어 40℃에 육박하는 날이 이어지며 한반도가 들끓고 있다. 지난 8일에는 경기 파주와 광명 등 일부 지역에서 40℃를 넘기며, 108년 만의 최악의 폭염이 기록됐다. 

특히 1차 산업의 최전선에 있는 농어촌은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폭염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작업환경 탓에 농촌지역 온열질환자는 9일 기준 총 194명으로 이미 작년의 두 배 수준에 달하고, 경북 봉화, 경남 진주, 충남 공주 등에서는 농작업 중 사망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사는 하늘의 뜻이라지만, 올여름은 시작부터 최악이었습니다.”

농가들은 한목소리로 하늘을 원망하고 있다. 민감 품목이자 주 작목인 마늘·양파 수확기였던 지난달 중순, 잦은 비로 수확은 물론 건조 작업까지 차질을 빚었다. 그러던 비가 6월 말부터 뚝 끊기더니, 7월 11일 현재까지 대다수 지역에서 빗방울이 자취를 감췄다. 



문제는 들깨, 콩 등 주요 작물의 파종 시기가 지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농민들은 씨를 뿌리지 못하거나, 뿌린 씨가 발아되지 않아 재파종을 반복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충남 부여는 6월 27일부터 7월 11일 현재까지 보름간 누적 강수량이 '0'을 기록 중이다. 8일 36.3℃, 9일 35.9℃, 10일 34.9℃ 등 연일 불볕더위가 이어지며 들녘은 속수무책으로 타들어 가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11일 기준 7월 17일까지 비 소식도 없다

부여에서 마늘·양파·깨·콩·고추 등을 재배하는 김영희 씨(69)는 “6월 20일쯤 마늘을 수확했는데, 비 때문에 수확일을 잡기도 어려웠고 땅이 질척거려 수확이 쉽지 않았던 데다 건조도 더뎠다”며 “그런 비가 6월 말부터 끊겨 가뭄이 이어지며 지금은 파종한 콩이 싹도 안 나고, 들깨는 아예 심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조만간 수확해야 할 고추 역시 생육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종일 물 대기에 정신이 없다”고 답답해했다. 

폭염에 이어 농산물 가격 하락이라는 ‘수확 후 충격’도 농가의 시름을 깊게 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양념채소 관측으로 매월 발표하는 양파·마늘·건고추·대파 중 아직 수확이 이뤄지지 않은 건고추를 제외한 양파·마늘·대파 모두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수확을 마친 양파와 마늘에 이어 본격 출하되는 대파 시세 하락도 심각하다. 서울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7월 상순(1~10일) 대파 도매가격은 kg당 1196원(상품)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2024년 1534원, 2023년 1689원, 2022년 1765원과 비교해 급락 수준이다.

이달부터 경기 이천 등에서 대파를 출하하는 김진산 씨(55)는 “가락시장에 하루 22만단 정도 들어가는데, 이 물량이면 예전 같으면 2500원은 무조건 나와야 하는 시세였다”며 “하지만 폭염으로 수확이 밀리고 식자재 등의 소비 침체로 가격도 약세다. 대파의 경우 2월 중순 이후 계속해서 약세가 이어져 상당히 힘든 상황”이라고 전했다. 

축산농가와 어가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폭염으로 가축 증체 지연에 폐사가 이어지고, 양식 어가는 고수온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최악의 여름나기가 계속되고 있다.

김락기 대한한돈협회 김제지부장은 “폭염이 이어지며 냉방시설 가동 등으로 전기세를 비롯해 생산비는 증가하는 반면 돼지의 사료 섭취량이 줄어 출하일령은 지연되고 있다”며 “여기에 폐사도 늘어 앞으로 남은 여름이 걱정”이라고 밝혔다. 



김경욱·홍란 기자 kimkw@agrinet.co.kr)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http://www.agrinet.co.kr)

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406